논문/ 특허/ 기술료/ 사업화/ 인력양성/ 연수지원
Ⅰ. 논문
○ 검증 시 당해연도의 인쇄본으로 출판된 논문만 성과로 인정(단, Online 출판만 하는 저널의 경우는 예외)
|
사업 또는 과제식별 항목, 주요 입력▸ 항목 |
|
조사․분석 항목 |
|
기타 표준 항목 |
항목 명칭 (필수 항목 '*' 표시) |
필수항목표시 (항상필수-●, 조건별필수-O) |
항목 설명 |
|
논문구분* |
● |
▸ "[별첨1] 항목별 분류코드"의 "14. 논문구분(학술지구분) 코드"를 참조하여 해당 항목의 코드 값을 기재 ※ 논문에서는 국외전문학술지(01), 국내전문학술지(03)만 입력 가능. |
|
학술지명* |
● |
▸ 해당 논문이 게재된 학술지의 정식 명칭(Full Name)을 정확히 기재 예) Composites Science and Technology |
|
논문명* |
● |
▸ 학술지에 게재된 논문명과 일치하도록 정식 명칭(Full Name)을 정학히 기재 |
|
ISSN* |
● |
▸ 학술지 고유번호인 ISSN 번호를 양식에 맞게 기재 예 1) ISSN 입력 시: 1254-3284 예 2) 정확한 값을 알지 못하는 경우: 0000-0000 |
|
DOI |
|
▸ 해당 논문의 DOI(Digital Object Identifier : 디지털객체식별자) |
|
기여율(%) |
|
▸ 논문의 기여율을 기재 ※ 정확한 값을 모르는 경우 0으로 입력 |
|
주저자명(제1저자)* |
● |
▸ 해당 논문의 첫 번째 위치에 있는 저자를 기재(영문명으로 기재하는 것을 원칙으로 하며, 학술지에 한글명으로 등재된 경우 동일하게 한글명으로 기재) 예) Gil-Dong Hong ※ 교신저자도 공동저자에 입력 |
|
공동저자명 |
|
▸ 해당 논문의 첫 번째 위치에 있는 저자를 기재(영문명으로 기재하는 것을 원칙으로 하며, 학술지에 한글명으로 등재된 경우 동일하게 한글명으로 기재) ▸ 공동저자가 다수인 경우에는 ' ; '으로 구분하여 기재 예1) 공동저자가 1인인 경우: 홍길동 예2) 공동저자가 2인 이상인 경우: 홍길동;강감찬;김유신 |
|
볼륨번호* |
● |
▸ 해당 논문이 게재된 학술지의 권(호)를 정확하게 기재. 호가 없는 경우는 권만 기재하며, 권, 호 등의 단위는 입력하지 않음 예1) 정상입력 예: 12(3), 13) 예2) 오입력 예) 12권 3호 * 정확한 값을 알지 못하는 경우: N 또는 n 입력 |
|
SCI(E)구분* |
● |
▸ 학술지의 SCI(E) 등재여부를 코드 값으로 기재 (01: SCI, 02: 비SCI)
▸ SCI(E) 논문만 검증대상 논문으로 취급됨. ※ 제출된 SCI(E) 논문 중 “검증통과”한 논문에 대해서만 조사·분석 시 정식 성과로 인정됨. ※ 검증 시 당해연도의 Printed 논문만 성과로 인정됨.(단, Online 출판만 하는 저널의 경우는 예외) |
|
논문 페이지 |
시작* |
● |
▸ 논문의 시작 페이지를 숫자 또는 문자-숫자 형식으로 기재 예1) 151 예2) A-10, 가-10 예3) 정확한 값을 알지 못하는 경우: 0 입력 |
끝 |
|
▸ 논문의 끝 페이지를 숫자 또는 문자-숫자 형식으로 기재 예1) 157 예2) A-15, 가-15 |
|
학술지임팩트팩터 |
|
▸ 해당 학술지의 임팩트팩터(ImpactFactor, 영향지수)를 최대8자리, 소수점5자리로 기재 예) 2.34 |
|
학술지출판일자 |
|
▸ 해당 논문이 게재된 학술지의 출판일자를 YYYYMMDD의 형식으로 기재 예1) 정상입력 예: 20140324 예2) 오입력 예: 13.3.24 |
|
초록 |
|
▸ 논문의 초록을 기재 |